LOADING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원천세 신고방법, 계산기, 가산세, 신고기간 알아보기

by 행_복

원천세 신고

 

원천세는 소득을 지급하는 자가 소득 지급 시 원천징수하여 납부하는 세금으로, 정확하게 신고하고 납부해야 가산세 등의 불이익을 피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원천세 신고방법, 계산기, 가산세, 신고기간 등에 대해 설명드릴게요.

 

 

원천세 신고방법

원천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에서 할 수 있어요.

 

✅ 원천세 신고 바로가기

 

홈택스에 로그인한 후 '원천세 신고' 메뉴에서 '정기 신고'를 선택합니다.

 

반기 신고자는 상반기(1~6월)와 하반기(7~12월)로 나누어 각각 7월과 다음해 1월에 신고해야 해요.

 

✅ 원천세 신고 납부 따라하기

 

신고 내용

  1. 근로소득: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른 세율을 적용하여 원천징수 세액을 계산합니다.
  2. 사업소득: 총 급여액의 3.3%를 원천징수합니다.
  3. 일용소득: 일당 150,000원 초과 시 초과액의 2.97%를 원천징수합니다.

특이 사항

  • 연말정산 후 환급이 발생하면 환급신청서를 작성하여 함께 제출해야 해요.
  • 소득세는 자동계산되지 않으므로 직접 입력해야 합니다.
  • 지방소득세는 위택스에서 별도로 신고/납부해야 합니다.

원천세 계산기

원천세 계산기는 다양한 소득유형별로 제공되고 있어요.

✅ 원천세 계산기 사용하기

 

근로소득 원천세 계산기

국세청 홈택스에서 제공하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활용하여 근로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세액을 계산할 수 있어요. 월급여액, 부양가족 수, 자녀 수 등을 입력하면 근로소득세와 지방소득세 금액을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사업소득 원천세 계산

사업소득에 대해서는 총 급여액의 3.3%를 원천징수해요.

일용소득 원천세 계산

일당 150,000원 초과 시 초과액의 2.97%를 원천징수해요.

원천세 계산기는 소득유형별로 정해진 세율을 적용하여 원천징수세액을 계산하는 데 활용됩니다. 근로소득의 경우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기반으로 하며, 사업소득과 일용소득은 정액 세율이 적용됩니다.

원천세 가산세

 

원천세 가산세는 원천징수의무자가 원천징수세액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거나 과소납부한 경우에 부과됩니다.

원천세 가산세 부과 사유

  1. 원천징수세액을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은 경우
  2. 원천징수세액을 과소납부한 경우
  3. 수정신고 시 추가로 납부해야 할 세액이 있는 경우

가산세 계산 방식

  • 무신고 가산세: 미납부 또는 과소납부 세액의 20%
  • 지급고지분 가산세: 10%
  • 과소신고 가산세: 10%
  • 납부지연 가산세: 1일 0.025%의 이자상당액

가산세 신고 및 납부

홈택스에서 '원천세 신고' 메뉴의 '수정신고'를 통해 가산세를 계산하고 신고할 수 있어요. 신고서 작성 시 '원천징수등 납부지연가산세 계산해보기' 링크를 클릭하면 가산세 금액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가산세는 원천세와 함께 납부하며, 납부방법은 동일해요.

원천세 신고기간

원천세 신고기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월별 신고

원천세는 원칙적으로 매월 신고하는 월별 신고 방식이에요. 해당 월의 원천징수세액을 그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해야 해요.

 

예를 들어, 5월분 원천세는 6월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해야 해요.

반기 신고

반기 신고 제도를 활용할 경우, 징수일이 속하는 반기(1~6월, 7~12월)의 마지막 달 다음 달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1~6월분 원천세는 7월 10일까지, 7~12월분은 다음해 1월 10일까지 신고 및 납부하면 돼요.

수정신고

원천세를 과소납부하거나 미납부한 경우 수정신고를 통해 가산세와 함께 납부해야 해요. 수정신고서는 별지로 작성하여 제출하며, 귀속연월과 지급연월은 당초 신고서와 동일하게 기재해야 해요.

 

따라서 원천세 신고기간은 월별 신고가 원칙이지만, 반기 신고 제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수정신고를 통해 미납분을 추가로 납부할 수 있어요.

결론

원천세 신고는 소득 지급 시 반드시 준수해야 할 중요한 의무입니다. 홈택스를 통해 쉽게 신고할 수 있으며, 원천세 계산기와 가산세 계산 방식을 활용하면 정확한 세액을 계산할 수 있어요.

 

 

기한 내에 신고하고 납부하여 가산세 등의 불이익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천세 신고기간을 잘 지키고, 필요시 수정신고를 통해 올바르게 납부하세요.